반응형 전체 글29 [Xcode] Xcode 15 에러 + cocoapod Error 해결 방법 Xcode 15를 사용해보고 싶은 마음에 업데이트 이후에 두근 대는 마음으로 빌드를 했는데 이런... Error (Xcode): DT_TOOLCHAIN_DIR cannot be used to evaluate LIBRARY_SEARCH_PATHS, use TOOLCHAIN_DIR instead 이런 에러가 생겼습니다. OTL 다행히도 우리의 스택오버플로우님께서 해결책을 찾아주셨습니다. (멍청한 ChatGPT) CocoaPods이 Xcode 15와 호환이 되도록 1.13.0 버전을 출시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PM 좋은데 회사에서는 왜 Pod을 고집하는지 거참.... CocoaPods 업데이트 하기 pod --version CocoaPods 버전 업데이트 하기 sudo gem install co.. 2023. 11. 21. [Swift] Hashable 프로토콜 이해하기 Hashable 프로토콜: Hashable의 중요성 1. 해시 값의 개념: 해시 값은 객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정수 값입니다. 이 값은 객체의 내용에 기반하여 계산되며, 동일한 객체는 항상 같은 해시 값을 가져야 합니다. 해시 함수는 이러한 해시 값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2. 효율적인 데이터 액세스: Dictionary의 키나 Set의 원소로 사용될 때, 객체의 해시 값은 해당 객체의 저장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등의 연산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배열(Array) 배열에서의 검색은 선형 검색(linear search)를 사용합니다. 이는 최악의 경우 모든 요소를 확인해야 하므로, 시간 복잡도는 O(n) 입니다. 여기서 n은 배열의 요소 수.. 2023. 11. 17. [Swift] 접근제어에 대해서 알아보기 Swift에서의 접근 제어는 코드의 일부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코드의 세부 구현 내용을 숨기고,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입니다. 또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핵심적인 특징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1. 접근 제어란 1) 접근 제어의 필요성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서 중요한 캡슐화와 은닉화를 구현하는 이유는 외부로 부터 접근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불필요한 부분이 노출이 된다면 전체코드의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접근제어를 사용합니다. 2) 모듈과 소스 파일 Swift의 접근제어는 모듈과 소스파일을 기반으로 설계 되었습니다. 모듈은 다른 포스트에서 알려드리겠지만, 배포할 코드의 묶음 단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 또는 앱이 모.. 2023. 11. 9. [SwiftUI] 앱 생명주기: 깊이 이해하기 SwiftUI View의 생명주기를 먼저 보고싶으신 분들은 이 링크를 클릭 하시면 됩니다. SwiftUI는 앱 개발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소개하면서, 앱의 생명주기 관리에도 명확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UIKit의 AppDelegate와 SceneDelegate에 의존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SwiftUI는 @main 구조체와 함께 Ap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앱의 시작점과 생명주기 이벤트를 관리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SwiftUI 앱 생명주기의 주요 구성 요소를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wiftUI 앱의 구조 SwiftUI 앱은 App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구조체로 시작합니다. 이 구조체는 앱의 진입점 역할을 하며, body 속성에서 앱의 초기 뷰를 제공합니다. import SwiftUI.. 2023. 11. 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