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OS23 [SwiftUI] 앱 생명주기: 깊이 이해하기 SwiftUI View의 생명주기를 먼저 보고싶으신 분들은 이 링크를 클릭 하시면 됩니다. SwiftUI는 앱 개발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소개하면서, 앱의 생명주기 관리에도 명확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UIKit의 AppDelegate와 SceneDelegate에 의존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SwiftUI는 @main 구조체와 함께 Ap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앱의 시작점과 생명주기 이벤트를 관리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SwiftUI 앱 생명주기의 주요 구성 요소를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wiftUI 앱의 구조 SwiftUI 앱은 App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구조체로 시작합니다. 이 구조체는 앱의 진입점 역할을 하며, body 속성에서 앱의 초기 뷰를 제공합니다. import SwiftUI.. 2023. 11. 8. [SwiftUI] View의 생명주기: 이해 및 효과적 활용 SwiftUI를 마스터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측면 중 하나는 뷰 생명주기를 이해하는 것이며, 이는 뷰의 생성, 업데이트, 파괴를 관리합니다. SwiftUI 뷰 생명주기의 단계 SwiftUI의 뷰 생명주기는 여러 단계로 나뉩니다. 주요한 것으로는 onAppear와 onDisappear 클로저가 있으며, 이들은 뷰가 화면에 나타날 때와 사라질 때 실행됩니다. 또한, View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SwiftUI는 뷰의 body 프로퍼티를 다시 계산하여 화면을 최신 상태로 갱신합니다. 예시 코드 아래는 SwiftUI 뷰 생명주기를 활용하는 간단한 예시 코드입니다: import SwiftUI struct ContentView: View { @State private var isActive = false var .. 2023. 11. 7. [SwiftUI] @StateObject와 @ObservedObject는 뭐가 다를까? 지난번에는 EnvironmentObject에 대해서 알아봤지만 사실 더 먼저 알아야하는 것이 이 두 Wrapper인 @StateObject와 @ObservedObject입니다. @StateObject와 @ObservedObject: 차이점 설명 @StateObject와 @ObservedObject 속성 래퍼는 Observed 객체의 변경에 대한 응답으로 SwiftUI 뷰를 업데이트하도록 지시합니다. 두 속성 래퍼 계층으로 유사해 보이지만 SwiftUI에서 앱을 구축할 때 알아야 할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왜 항상 @ObservedObject를 잘 사용을 안했는지 이유를 몰랐습니다. (그냥 써야한다고해서 그냥 썼던 기억밖에.. ㅎㅎ) 그러다 두개의 차이에 대한 의문과, 공식문서를 연구하면서 S.. 2023. 11. 5. [iOS] Xcode 단축키 정리 Xcode에서 자주쓰는 단축키들을 정리해봤습니다. 단축키 기능 어떤 상황에서 주로 쓰는지 ⌘ + B 빌드하기 코드를 작성하고 바로 앱을 실행하기 전에 빌드 오류를 확인할 때 ⌘ + R 앱 실행하기 앱을 시뮬레이터나 실제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때 ⌘ + . 앱 실행 중지 앱의 실행을 중지하고 싶을 때 ⌘ + / 주석 처리/해제 코드의 특정 부분을 주석 처리하거나 해제할 때 ⌘ + N 새 파일 생성 새로운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등을 추가할 때 ⌘ + ⌥ + N 새 그룹 생성 파일을 분류하기 위해 폴더(그룹)를 만들 때 ⌘ + ⇧ + O 빠른 열기 특정 파일이나 클래스로 빠르게 이동할 때 ⌘ + ⌥ + ←/→ 헤더/소스 전환 헤더 파일(.h)과 구현 파일(.m/.swift) 사이를 전환할 때 ⌘ + ⇧ + K 클.. 2023. 11. 4.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